옌롄커(阎连科)
옌롄커는 현재 중국에서 평단의 반응과 대중의 호응을 동시에 장악한 중국 당대의 가장 중요한 작가의 한 사람으로 꼽히고 있다. 제1회, 제2회 루쉰 문학상, 제3회 라오서(老舍) 문학상(2005년)을 포함한 국내외 문학상을 20여 차례 이상 수상하였으며, 상당수 작품이 영국, 프랑스, 일본, 독일 등 10여 종의 외국어로 번역 소개되었다. 11편의 장편소설과 다수의 수필, 산문, 80여 편의 중단편소설을 발표했으며, 2007년 9월 12책 분량의 <옌롄커문집(阎连科文集)>을 인민일보출판사에서 출간하였다. 1985년 하남대학 정법과를 졸업했으며, 1991년 해방군예술대학(解放军艺术学院) 문학과(文学系)를 졸업했다. 2004년 군인신분에서 벗어났으며, 현재 중국작가협회 전국위원회 위원, 북경시 청년연합회(青联) 위원, 일급작가, 북경시 작가협회 전업작가로 있다.
옌롄커는 1958년 허난성(河南) 쑹현(嵩县)의 작은 마을 톈후진(田湖镇)에서 태어났다. 그 옛날 중원으로 불리며 중국 고대문명의 발원지로 이름을 날렸지만, 대륙의 문명이 몰락하게 되면서 오랫동안 중국에서 가장 낙후되고 가난한 지역이 되어버린 곳이다. 생년월일이 필요 없을 정도로 빈곤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입대할 때 서류작성을 위해 회계관이 임의로 작성한 출생일이 1958년 8월 24일이다. 어머니는 생년월일이 아니라 수확을 못할 정도로 고구마가 풍작이었고 찌는 듯이 무더운 해에 태어났다고만 들려줬던 것이다. 대략적인 추측에 의해 뒤늦게 부여받은 날짜이긴 하지만 그에게 그것은 유희와 장엄이 함께하는 무엇이었다. 옌롄커는 자신의 감수성은 확실히 쑤통, 위화 등 60년대 작가와는 다르며, 50년대 작가의 그것임이 확실하다고 말한다. 중국에서 50년대 작가와 60년대 작가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문학사적 개념이다. 유년기를 어떤 방식으로 거쳤는가가 한 작가에게 미치는 영향을 감안할 때 이들을 가르는 차이는 문화대혁명(1966-76년)이란 역사적 사건이다. 대약진 운동, 반우파투쟁, 문혁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계급투쟁의 역사가 그들의 신체에 각인한 것이 무엇이든, 그 또한 50년대 작가인 모옌과 마찬가지로 그 시절을 회상할 때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유년기의 배고픔이었다. 혁명이 아니라 생존 자체가 그와 농민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였던 것이다. 육체적, 정신적 배고픔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운명을 바꾸고 토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는 소설을 쓰기로 결심했다고 회고한다. 보다 직접적인 원인은 소설 창작으로 한 작가의 환경 자체가 달라진 것을 보고 받은 충격 때문이었다. 1975년 동북 지역의 궁벽한 농장에 하향되어 있던 여류작가 장캉캉(张抗抗)은 소설 <경계선(分界線)>의 후반작업을 위해 대도시인 하얼빈으로 옮겨오게 되며, 소설이 출판된 후에도 하얼빈에 남아서 일을 계속할 수 있었다. 즉, 소설가가 되면 농촌을 떠나 도시에 갈 수 있는 것이다! 이를 계기로 고등학생이던 1975년부터 습작을 시작하여 「산고을의 혈화(山鄕血花)」라는 계급투쟁 이야기를 쓰기도 한다. 물론 언제 불쏘시개가 되었는지도 모를 소년의 백일몽이었다.
실제로 토지에서 벗어나게 된 것은 다른 농촌청년들과 마찬가지로 1978년 입대를 하면서이다. 입대 후 부대에 있는 문학창작 학습반에 들어가면서 정식으로 문학교육을 받게 되었고, 그 결과 1979년 우한의 《전투보》에 처녀작 「천마 이야기(天麻的故事)」를 발표한다. 이 소설은 한 병사가 공산당 입당을 위해 간부의 방에 몰래 천마(天麻) 한 근을 뇌물로 가져다 두는데, 간부가 이를 물리치며 병사에게 편지로 혁명적인 교훈을 전하는 내용이다. 소설이 발표되자 전 사단이 들썩였으며, 옌롄커는 원고료 8원의 반을 잘라 부대원들에게 사탕과 담배를 대접하며 자기 문학의 시작을 자축했다.
'獨立閱讀 > 讀, 서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옌롄커(阎连科) 프로필 - 2 (0) | 2007.11.18 |
---|---|
중국소설가 리얼(李洱) 인터뷰 (0) | 2007.10.27 |
류진운 - 글쓰기와 운동 (0) | 2007.09.16 |